http://zqktlwiuavvvqqt4ybvgvi7tyo4hjl5xgfuvpdf6otjiycgwqbym2qad.onion/wiki/%ED%86%B5%EC%8B%A0%ED%9A%8C%EC%82%AC/%EC%9D%B4%EB%8F%99%ED%86%B5%EC%8B%A0%EC%82%AC_%EB%B3%91%ED%81%AC/%ED%95%9C%EA%B5%AD/KT
아직 수백만명의 가입자가 있음에도 2010년 이후 개통된 철도, 도로, 터널, 대형 건물 등에는 중계기를 설치하지 않아서 대놓고 불통이었던 곳도 있었다. 대표적인 예로 [wiki:"경부고속선" KTX] 2단계 구간인 동대구~부산 구간과 [wiki:"인천국제공항철도" 공항철도],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의 거의 전 구간이 불통이었다. 돈을 받고 서비스하는 상용서비스임에도 하루 수만명이 이용하는 구간에서 불통이었다는 것이 믿겨지는가? 종료가 발표된 이후로는 불통 지역이 점점 더 늘어만 갔다. 2011년 10월~11월에는 해당 주파수로 LTE 시험을 한답시고 2G 기지국을 꺼 버려서 강남과 종로 등 서울 시내 한복판에서 대놓고 통화권 이탈상태가 되는 일까지 간혹 있었다.